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5 [식품첨가물/감미료] 스테비아의 감미 성분 / 스테비아 특징 여러 이유로 설탕을 대체 할 수 있는 대체 감미료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설탕 대체 감미료에 관심있는 분들은 스테비아를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스테비아는 대표적인 설탕 대체제중 하나 입니다. 오늘은 스테비아의 구성 성분과 감미료로써 스테비아가 가진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스테비아의 구성 성분 2. 스테비아의 감미도, 감미질 3. 스테비아의 특징 1. 스테비아의 구성 성분 스테비아는 복수의 감미 성분을 포함하며 이러한 각종 배당체의 혼합물입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스테비아 건조 잎 중에는 약 10~15% 정도의 감미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은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A, C, 글루코사이드A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감미 성분은 스테비올을 기본 골격으.. 2022. 8. 4. [운동영양학] 유청 단백질 WPC, WPI, WPH 종류별 특징과 차이 운동 후 섭취할 단백질 보충제를 찾아보면 WPC, WPI, WPH라는 말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전부 유청 단백질을 말하는 것 같기는한데 구체적으로는 뭘 말하는 것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오늘은 WPC, WPI, WPH 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단백질보충제 인기제품 바로가기 1. WPC (농축 유청 단백질) WPC는 Whey Protein Concentrate의 약자로 농축 유청 단백질을 말합니다. WPC는 원료가 되는 유청을 필터를 이용해 막 처리-여과 과정을 통해 얻어진 액체를 농축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됩니다. 이러한 가공 방식은 유청에 포함된 비타민, 미네랄이 그대로 남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유청에 존재하는 유당도 그대로 남기 때문에 유당 불.. 2022. 8. 4. [식품첨가물/감미료] 수크랄로스(Sucralose)의 특징, 장점 수크랄로스(Sucralose)는 설탕으로부터 만들어진 설탕 대체 감미료의 하나로 미국에서는 스플렌다(Splenda)라 불리기도 합니다. 수크랄로스는 여러 가지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수크랄로스가 가진 이런 특징과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양호한 감미질 설탕과 매우 유사한 단맛을 갖는 수크랄로스는 설탕의 약 600배의 단맛을 가진 고감미도 감미료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수크랄로스는 음료, 과자, 아이스크림, 디저트 등 여러 식품 카테고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높은 안정성 감미료를 사용 할 때 있어서 맛도 중요하지만 식품에 적용했을 때의 안정성도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수크랄로스는 내열성, 내광성, 장기 보존성 등 식품의 안정성 평가 항목에 있어서 충분한 안정성을.. 2022. 7. 22. [기능성식품학/건강기능식품]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란 / 카로티노이드 종류, 효능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을 띄는 과일과 채소에 풍부하게 함유 되어있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오늘은 카로티노이드란 무엇이며, 카로티노이드의 종류와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카로티노이드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탄소수 40의 기본 골격을 갖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의 총칭을 말합니다. 카로티노이드는 (1)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로 구성되는 카로틴류 (2) 산소 원자도 포함하는 크산토필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750종류 이상 화합물이 단리(單離)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리 : 혼합물 속에서 한 개의 원소 혹은 한 개의 화합물을 순수한 물질로서 분리해서 빼내는 것을 말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 2022. 7. 21. 유청 단백질이란? / 유청 단백질의 효능 우유 단백질은 크게 카제인과 유청 단백질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이중 유청 단백질은 우유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유청 단백질은 무엇이며, 어떤 효능이 있을까요? <hr contenteditable="false" data-ke-type="horizontalRule.. 2022. 7. 20. [유가공학] 카제인 단백질 (카제인이란, 카제인 효능/효과) 우유 단백질은 카제인(약 80%), 유청 단백질(약 20%)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우유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카제인은 무엇이며,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을까요? 1. 카제인이란?카제인은 포유류의 젖에서 널리 발견되는 인단백질의 한 종류입니다. 카제인은 물에 녹지 않는 단백질로 우유에 미립자 형태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카제인은 식초와 같은 산과 만나면 굳어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요구르트는 유산균이 만든 젖산에 의해 카제인이 굳어진 것입니다. 우유 속의 카제인은 위에 들어가면 위산에 의해 커드(curd)라 불리는 형태로 응집되어 덩어리를 형성합니다.이렇게 커드라는 덩어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카제인이 위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위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펩신)이 작용할 수 있는.. 2022. 7. 20. [식품첨가물/식품미생물] 박테리오신이란? / 박테리오신의 분류 / 작용 기작 1. 박테리오신이란? 박테리오신(bacteriocin)은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항미생물 기능을 가지 작은 펩타이드입니다. 박테리오신은 열에 안정한 특징이 있으며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성을 가져 식품 산업에서 유통기한 연장 목적으로 박테리오신의 하나인 니신(nisi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니신 A(nisin A)는 미국 FDA에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인정된 첨가물이며 유럽 등 여러 국가에서 마요네즈, 치즈 등 다양한 식품 유형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니신(nisin)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한 바 있으며, 국내 식품첨가물 공전에서는 니신(nisin)에 대해 "이 품목은 Lancefield group N에 속하는 Lactococcus lact.. 2022. 7. 18. [분자생물학실험] Competent cell 제조 방법 Competent cell은 세균(주로 E. coli)에 화학적 처리를 통해, 클로닝 시 외래 유전자가 잘 도입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준비한 세포를 말합니다. 줄여서 cp cel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클로닝을 자주 수행하는 실험실에서는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적절한 균주를 활용하여 Competent cell을 직접 제조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래는 제가 실제로 사용했던 Competent cell 제조 프로토콜입니다. Competent cell 제조 프로토콜 ✅ 사전 준비물 50ml LB broth1M CaCl2(멸균)50% glycerol(멸균)멸균 DW아이스메이커 얼음 ✅ 제조 방법 1. Competent cell 제조 이틀전 LB plate에 균을 접종한다. 2. 플레이트.. 2022. 7. 14.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