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크랄로스(Sucralose)는 설탕으로부터 만들어진 설탕 대체 감미료의 하나로 미국에서는 스플렌다(Splenda)라 불리기도 합니다.
수크랄로스는 여러 가지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수크랄로스가 가진 이런 특징과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양호한 감미질
설탕과 매우 유사한 단맛을 갖는 수크랄로스는 설탕의 약 600배의 단맛을 가진 고감미도 감미료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수크랄로스는 음료, 과자, 아이스크림, 디저트 등 여러 식품 카테고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높은 안정성
감미료를 사용 할 때 있어서 맛도 중요하지만 식품에 적용했을 때의 안정성도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수크랄로스는 내열성, 내광성, 장기 보존성 등 식품의 안정성 평가 항목에 있어서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유산균이나 효모의 양분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미생물의 발효를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요구르트 등의 발효 식품에 적용했을 때도 제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단맛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 섭취 칼로리 감소, 당분 섭취 억제
수크랄로스는 소량 사용으로도 충분한 단맛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식품법상 무열량(0kcal/g) 감미료로 분류되고 있으며, 체내 포도당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뇨병이나 당질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설탕 대신 수크랄로스를 섭취하는 것으로 단맛을 가지면서도 당분 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 감미료입니다.
4. 풍미 증강
수크랄로스는 우유, 과즙 등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제품의 향과 짠맛, 매운맛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즙을 첨가한 탄산음료에서 설탕 일부를 수크랄로스로 대체하면 과즙의 풍미가 증강되게 됩니다.
이와 동시에, 설탕 함량이 줄어드는 만큼 고형분이 적어져 탄산의 가스감이 강해짐으로써 상쾌한 마무리감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5. 마스킹 효과
수크랄로스는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기능 (마스킹 효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통해 원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불쾌한 맛 또는 식품 가공 중에 발생하는 불쾌한 맛을 마스킹할 수 있습니다.
대두단백과 병용 사용 시 마스킹 효과를 예로 들 수 있는데요, 건강 기능성 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 대체육 제조에 사용되는 대두단백 등은 특유의 냄새, 쓴맛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체육에 수크랄로스를 첨가했을 때 대두 단백질 특유의 취를 마스킹 해 수크랄로스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두 단백취가 감소한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된 바 있습니다.
6. 비용측면에서의 장점
수크랄로스는 소량의 첨가로도 충분한 단맛을 낼 수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당류를 동일 수준의 단맛을 내는 수크랄로스로 대체하면 사용량이 줄어들어 비용적인 이점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과즙 음료에서 수크랄로스의 풍미 증진 효과를 이용하면 수크랄로스를 첨가함으로써 식품에 배합하는 과즙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그만큼의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수크랄로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 적용 시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제품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구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국내 식품첨가물 공전 기준상 수크랄로스는 사용 제품과 사용량 규정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법규를 잘 확인 후 적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수크랄로스에 대한 국내 식품첨가물 공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Ⅱ. 식품첨가물 및 혼합제제류 ▶4. 품목별 성분규격 ▶가. 식품첨가물 ▶수크랄로스
▶Ⅱ. 식품첨가물 및 혼합제제류 ▶5. 품목별 사용기준(식품첨가물) ▶수크랄로스
수크랄로스 외에도 스테비아, 나한과 추출물등 다양한 감미료들이 설탕 대체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전 다른 감미료들에 대해서도 소개한 바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 제목 클릭시 새창으로 자동 연결됩니다.
[식품첨가물/감미료] 나한과 추출물이란? / 나한과 설탕대체 / 나한과 효능
[식품첨가물/감미료] 스테비아의 감미 성분 / 스테비아 특징
'식품 과학 > 식품과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제빵에서 증점안정제 역할 / 원료별 특징 (0) | 2022.08.06 |
---|---|
[식품첨가물/감미료] 스테비아의 감미 성분 / 스테비아 특징 (0) | 2022.08.04 |
[식품첨가물/식품미생물] 박테리오신이란? / 박테리오신의 분류 / 작용 기작 (0) | 2022.07.18 |
[식품첨가물/산도조절제] 산도조절제의 기능 / 유기산 미생물 억제 작용 원리 (0) | 2022.07.13 |
[식품첨가물/유화제]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3) (0)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