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명과학3

[분자생물학실험]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란? / 원리와 방법 : Heat shock, 전기천공법 1. 형질전환이란?형질전환(Transformation)은 외부의 유전자를 세포 또는 생물체에 도입하여 원래는 없던 새로운 유전 형질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박테리아를 이용한 형질 전환은 대장균(이하 E. coli)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이는 E. coli가 다루기 용이하고 세대기간(Generation time)이 짧아 배양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E. coli 의 형질전환(Transformation) 과정은 간단하게 Competent cell에 heat shock 또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을 이용해 유전자를 도입한 뒤 세포가 회복할 수 있는 과정을 거쳐 배지에 플레이팅 후 원하는 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를 선별하는 과정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 각 형질전환 방법은 .. 2022. 12. 16.
[분자생물학실험] Competent cell 제조 방법 Competent cell은 세균(주로 E. coli)에 화학적 처리를 통해, 클로닝 시 외래 유전자가 잘 도입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준비한 세포를 말합니다. 줄여서 cp cel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클로닝을 자주 수행하는 실험실에서는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적절한 균주를 활용하여 Competent cell을 직접 제조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래는 제가 실제로 사용했던 Competent cell 제조 프로토콜입니다.   Competent cell 제조 프로토콜  ✅ 사전 준비물 50ml LB broth1M CaCl2(멸균)50% glycerol(멸균)멸균 DW아이스메이커 얼음    ✅ 제조 방법 1. Competent cell 제조 이틀전 LB plate에 균을 접종한다. 2. 플레이트.. 2022. 7. 14.
[단백질 정제] Ni-NTA 레진 재생 방법 (Ni-NTA Resin Regeneration protocol) 1. Ni-NTA 레진 재생이 필요한 이유 단백질 발현/정제 실험 시, His-tag 단백질을 Ni-NTA 레진을 통해 정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레진은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반복 사용 시 Binding capacity(결합 능력)가 점점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레진을 재생(regeneration)해주면 일정 수준까지 Binding capacity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새 제품 수준은 아니지만, 경험상 실험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2. Ni-NTA 레진 재생의 기본 원리 레진 재생은 다음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① 기존 Ni 이온 제거 ② 침전 단백질 및 불순물 세척 ③ Ni 이온 재부착 이 과정을 통해 레진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3. Ni-NTA 레진 재생 방법 .. 2022.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