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펙틴에 대해 소개하면서 펙틴은 크게 고메톡실 펙틴과 저메톡실 펙틴 두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엄밀히 이야기 하자면 고메톡실 펙틴, 저메톡실 펙틴 외에도 아미드 펙틴도 존재하나 우선 이 부분은 예외로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고메톡실 펙틴과 저메톡실 펙틴은 펙틴의 에스테르화도(Degree of esterification:DE)에 따라 정해지게 됩니다. DE가 50% 이상일 경우 고메톡실, 50% 미만일 경우 저메톡실 펙틴입니다.
그렇다면 두 펙틴은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오늘은 고메톡실 펙틴과 저메톡실 펙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1. 고메톡실 펙틴(High methoxyl pectin, HM 펙틴)
고메톡실 펙틴은 산 또는 당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겔화되는 특징을 가집니다. 주로 잼, 마멀레이드, 신맛이 강한(=산이 존재하는) 젤리의 제조 시 사용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낮은 pH, 고당도의55 Brix 이상)의 조건에서 수소 결합이 형성되며 겔화가 이루어집니다. 구체적인 겔화 조건은 제품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 겔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에 맞는 겔화 조건을 확인 후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메톡실 펙틴의 겔은 비가역성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 번 겔이 형성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니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메톡실 펙틴은 일반적인 잼(고당도), 과즙 음료, 산성인 유음료/유제품 디저트 등에 사용됩니다.
2. 저메톡실 펙틴(Low methoxyl pectin, LM 펙틴)
저메톡실 펙틴은 칼슘(Ca2+), 마그네슘(Mg2+)과 같은 금속 2가 양이온이 존재할 때 겔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 산을 필요로 하는 고메톡실 펙틴과 달리 금속 2가 양이온의 존재로도 겔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저당도 잼, pH를 많이 낮출 수 없는 제품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메톡실 펙틴과 저메톡실 펙틴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펙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도 참고해주세요.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펙틴(Pectin) 제조 방법 / 펙틴 종류 / 펙틴 용도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펙틴(Pectin) 제조 방법 / 펙틴 종류 / 펙틴 용도
1. 펙틴이란? 펙틴은 잼, 베이킹, 음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첨가물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펙틴은 식물의 세포벽에 존재하며 식물에 있어서 펙틴은 물을 빨아들이고
whateverfood.tistory.com
'식품 과학 > 식품과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킹재료/제과제빵이론] 한천 vs 젤라틴 차이점 (0) | 2022.12.14 |
---|---|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한천이란? / 한천 구조, 특징, 사용법 (0) | 2022.12.13 |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펙틴(Pectin) 제조 방법 / 펙틴 종류 / 펙틴 용도 (0) | 2022.12.12 |
[식품첨가물/증점안정제] 증점안정제 덩어리 원인 / 덩어리 생성 방지 방법 (0) | 2022.12.02 |
[식품미생물학] 식품 분야에서 유전자 분석기술의 이용 : PCR, DNA 시퀀싱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