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식품 잡지 <푸드케미칼> 2020년 6월호 기사 내용을 번역한 글입니다.
- 모든 내용은 제가 직접 번역한 것으로 전문 번역가가 아닌 관계로 오타, 오역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분량 관계상 해당 기사를 4회 분량으로 나누어 번역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2)"에 해당하는 포스팅으로 이전 글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아래 링크 클릭시 새창으로 연결
[식품첨가물]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1)
- 일본 식품 잡지 <푸드케미칼> 2020년 6월호 기사 내용을 번역한 글입니다. - 모든 내용은 제가 직접 번역한 것으로 전문 번역가가 아닌 관계로 오타, 오역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분
whateverfood.tistory.com
월간 푸드케미칼 2020 6월호 / 타이요 화학 주식회사, 요시타카 마에다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4. 유화제의 종류와 용도
유화제의 기능에는 <유화>에 그치는 것이 아닌 <분산>, <기포>, <소포>, <습윤>, < 전분, 유지, 단백질의 품질 개선>, <항균>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화제는 이름에 들어있는 <유화>라는 말 자체에 국한되는 것에서 벗어나 넓게 "식품의 품질 개선 작용이 있는 첨가물"로 이해하는 편이 옳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화제의 종류, 효과에 대해서는 [표 3]과 [표 4]에 나타냈습니다. 유화제의 사용을 대략적으로 검토할 때 우선 이 표를 참고하면 비교적 어떤 유화제를 선택할지 고르기 쉬울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역주 : 여기서는 일본을 말합니다)에서 사용 가능한 유화제에는 표에 기재된 것 외에도 폴리소르베이트, 스테아릴젖산칼슘, 스테아릴젖산나트륨 등 사용 용도 제한이 있는 유화제나 사포닌과 같은 천연물도 있지만 여기서는 제외했습니다.
[표 3] 식품용 유화제의 기능과 용도(1)
[표 4] 식품용 유화제의 기능과 용도(2)
해당 포스팅은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2)"에 해당하는 포스팅으로 이어지는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식품첨가물/유화제]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3)
- 일본 식품 잡지 <푸드케미칼> 2020년 6월호 기사 내용을 번역한 글입니다. - 모든 내용은 제가 직접 번역한 것으로 전문 번역가가 아닌 관계로 오타, 오역 있을 수 있으니 양
whateverfood.tistory.com
'식품 과학 > 식품과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첨가물/유화제]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3) (0) | 2022.07.12 |
---|---|
[식품첨가물/감미료] 나한과의 감미 특성 (0) | 2022.07.07 |
[식품첨가물/감미료] 나한과 추출물이란? / 나한과 설탕대체 / 나한과 효능 (0) | 2022.07.05 |
[식품첨가물/유화제] 유화제의 선택, 사용법 (1) (0) | 2022.07.05 |
[식품첨가물/품질개량제] 식육가공품 품질개량제 작용 원리 (0) | 2022.07.01 |
댓글